서비스, 로드밸런싱, 네트워킹
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모델
모든 파드
는 고유한 IP 주소를 갖는다.
이는 즉 파드
간 연결을 명시적으로 만들 필요가 없으며
또한 컨테이너 포트를 호스트 포트에 매핑할 필요가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.
이로 인해 포트 할당, 네이밍, 서비스 디스커버리,
로드 밸런싱,
애플리케이션 구성, 마이그레이션 관점에서 파드
를
VM 또는 물리 호스트처럼 다룰 수 있는 깔끔하고 하위 호환성을 갖는 모델이 제시된다.
쿠버네티스는 모든 네트워킹 구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할 것을 요구한다 (이로 인해 모든 의도적인 네트워크 분할 정책이 방지된다)
- 노드 상의 파드가 NAT 없이 모든 노드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다
- 노드 상의 에이전트(예: 시스템 데몬, kubelet)가 해당 노드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다
참고: 파드
를 호스트 네트워크에서 구동하는 것도 지원하는 플랫폼(예: 리눅스)에 대해서는
다음의 요구사항도 존재한다.
- 한 노드의 호스트 네트워크에 있는 파드는 NAT 없이 모든 노드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다
이 모델은 전반적으로 덜 복잡할 뿐만 아니라, 무엇보다도 VM에 있던 앱을 컨테이너로 손쉽게 포팅하려는 쿠버네티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. 작업을 기존에는 VM에서 실행했었다면, VM은 IP주소를 가지며 프로젝트 내의 다른 VM과 통신할 수 있었을 것이다. 이는 동일한 기본 모델이다.
쿠버네티스 IP 주소는 파드
범주에 존재하며,
파드
내의 컨테이너들은 IP 주소, MAC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공유한다.
이는 곧 파드
내의 컨테이너들이 각자의 포트에 localhost
로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.
또한 파드
내의 컨테이너들이 포트 사용에 있어 서로 협조해야 하는데,
이는 VM 내 프로세스 간에도 마찬가지이다.
이러한 모델은 "파드 별 IP" 모델로 불린다.
이것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는 사용하는 컨테이너 런타임의 상세사항이다.
노드
자체의 포트를 파드
로 포워드하도록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지만(호스트 포트라고 불림),
이는 매우 비주류적인(niche) 동작이다.
포워딩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도 컨테이너 런타임의 상세사항이다.
파드
자체는 호스트 포트 존재 유무를 인지할 수 없다.
쿠버네티스 네트워킹은 다음의 네 가지 문제를 해결한다.
- 파드 내의 컨테이너는 루프백(loopback)을 통한 네트워킹을 사용하여 통신한다.
- 클러스터 네트워킹은 서로 다른 파드 간의 통신을 제공한다.
- 서비스 리소스를 사용하면 파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다.
- 또한 서비스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게시할 수 있다.